-
나는 사상사 연구가로서, 사람들이 정신의 진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델이 당대의 기술을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17세기 사람들은 정신을 거울이나 렌즈인 것처럼 생각했는데, 이것은 광학과 렌즈 제작 분야에서의 진보를 반영 한 것이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행했던 프로이트의 정신 모델은, 증기 기관차의 보편적 보급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 같다.
증기가 보일러에서 압축실로 이동하는 것처럼 정신이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부풀어올라 굽이쳐 들어간다고 생각했다.
20세기 초에 사람들은 뇌에 전달 회로와 중계 장치가 있으며, 그래서 정신이 거대한 전화교환망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40여 년 전, 정신에 관한 새로운 모델이 생겼다. 그것은 컴퓨터였다. 이 모델은 사고 과정의 어떤 부분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면 우리는 '입력하고 '출력' 하며, '정보 처리' 활동도 한다. 또 사고 과정에는 '피드백', '프로그래밍', '저장' 등의 활동도 있다.
이 모델이 제대로 적용되는 한 별로 문제가 없지만 어떤 사람들은 이
만약 그 공장에 어떤 문제가 발생해서 부품 생산에 지장이 생긴다면, 그업체의 전 제조 과정이 무력해지기 때문이다.
내 상담자의 제조업체도 그 부품 공급업체에 문제가 발생해서 더 이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자 큰 문제가 생기고 말았다.
그는 더 많은 축전기를 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했지만 허사였다.
결국 그는디자인 부서에 이 축전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물어보고 다른 것으로바꿀 수 있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우선 디자이너에게 왜 하필 이 축전기를 선택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디자이너는 "이 축전기가 파란색이어서요. 회로판에 들어가면 예쁠 거라고 생각했죠"라고 대답했다.
그는더 이상 그 제품에 관해 물어볼 필요가 없었다. 디자이너가 자기 분야만을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제품에 관해 다른 것은 전혀 알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물리학자인 내 처남이 들려준 이야기다. 어떤 의사들은 환자를 자기 전문 분야의 관점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정형외과 전문의는 환자를 인간으로 보지 않고 각종 뼈의 집합으로보고, 심장병 전문의는 병든 심장 혹은 건강한 심장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예는 많다.
그들은 치료에서 정신이 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경향에 대한 반동으로, 총체적 치료의학과 건강단체들이 출현하게 되었다.